보험/생명보험(4)
-
변액보험과 예금자보호법 적용 , 외부수탁제도
변액보험의 예금자보호법 적용이 배제되는 이유와 외부수탁제도가 무엇인가요? 변액보험은 적립식 펀드나 수익증권과 같은 투자형 상품으로,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예금자 보호법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보험 가입자는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는다고 불안해 하십니다. 그러나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에서는 간접투자하는 모든 변액보험의 자산의 보관, 관리는 보험회사가 아닌 수탁회사(은행)에 별도로 맡기도록 규정(법률 제128조)하고 있기 때문에 변액보험의 자산은 상당히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외부 사무수탁기관(수탁은행)에서는 고객자산의 안전한 보관관리를 위하여, 자산운용 회사와 독립되어 법률에 따라 아래와 같은 업무를 수행합니다. ◇ 변액보험 자산의 보관 및 관리 ◇ 자산..
2008.11.21 -
보험은 성공을 위한 안전벨트이다.
살아가면서 단 한 번의 사고도 없이 무사히 지낼 수 있다면 그보다 행복한 일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 일은 나하고는 상관없겠지 라고 생각했던 불행에 누구나 빠질 수 있고 당신도 예외는 아니다. 불의의 사고는 언제 닥칠지 모르는 일이다. 갑작스러운 사로를 당하면 당황하고 때로는 무너지기까지 한다. 현명한 당신이라면 사고를 대비한 보험에 꼭 가입해두는 것이 좋다. 요즘은 텔레비젼만 켜도 갖가지 보험 상품의 광고들이 넘쳐난다. 그래서 막상 보험을 가입하고 싶어도 선택에 있어 혼란과 망설임이 발생한다. 어느정도 자신에게 맞는 보험이 있다고 생각되면 컨설턴트(보험 설계사)의 조언에 귀를 기울이며 최종 판단을 하면 된다. 생명보험을 가입할 경우 최소한 자신이 5년 동안 받을 수 있는 월급에 해당되는 금액이 보장되..
2008.11.21 -
적립식 투자법
적립식 투자법은 주가 등락이 심할 때 오히려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한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뭔가요? 적립식 투자법은 주가의 오르고 내림에 상관없이 매월 같은 금액을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즉, 매월 같은 금액을 투자하기 때문에 주가가 내려가면 더 많은 주식을 매입하게 되고 주가가 오르면 적은 수의 주식을 매입하게 되죠. 예를 들어, 매월 10만원씩 5개월간 투자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1월에 주가가 1,000원이라면 10만원으로 100주를 살 수 가 있습니다. 그런데 2월에 주가가 내려가 800원이 됐습니다. 그럼 2월에는 똑같은 10만원을 투자하더라도 125주를 사게 되어 1월보다 더 많은 주식을 갖게 됩니다. 그런데 3월에 주가가 더 내려가 600원이 됐습니다. 이 때는 10만원으로 167주를 살 수..
2008.11.04 -
부자지수법칙
모든 사람들은 현재 자신이 경제적로 어느 수준에 있는지 늘 궁금해 한다. 특히 재테크를 시작하거나 혹은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위치뿐만 아니라 현재 재정관리를 잘해나가고 있는지 여부에 관심이 많다. 부자의 법칙은 개인의 나이,자산,부채,소득,지출의 상관관계를 통해 개인의 경제적 위치와 재정관리의 효율성을 진단하는 지수로 활용된다. 1. 부자지수 법칙이란? 앞으로 부자가 될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를 따져보는 지수 부자지수 = (순자산액X10))/(나이X총소득) 순자산액 = 총자산 - 부채 총 소 득 = 연간급여소득 (기타 소득포함 ,모든소득) 2. 현재 당신의 부자지수는 얼마인가요? 부자 지수 내 용 50% 이하 문제 있음, 지출 많고 소득간리 미흡 100%이하 노력이 필요함, 평균수준의 지출필요 2..
2008.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