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8)
-
풍력발전은 자연상태의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현재 기술로 대체에너지원 중 가장 경제성이 높다.
풍력발전은 자연상태의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현재 기술로 대체에너지원 중 가장 경제성이 높은 에너지원으로써 바람의 힘을 회전력으로 전환시켜 발생되는 전력을 전력계통이나 수요자에 직접 공급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풍력발전을 이용한다면 산간이나 해안오지 및 방조제 등 부지를 활용함으로써 국토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풍력발전 시스템이란 다양한 형태의 풍차를 이용하여 [그림 1]과 같이 바람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 기계적 에너지로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얻어내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풍력발전 시스템은 무한정의 청정에너지인 바람을 동력원으로 하므로 기존의 화석연료 나 우라늄 등을 이용한 발전방식과 달리 발열에 의한 열공해나 대기오염 그리고 방사능 누출 등과 같은 문제가 없는 무공해 발전방식이다...
2009.01.20 -
태양광전지 핵심소재 - 폴리실리콘
태양전지 핵심 소재인 폴리실리콘의 양산 경쟁이 대기업 4파전으로 치달았다. 선도주자인 동양제철화학이 오는 2010년까지 전세계 공급물량의 20%선에 달하는 1만5000톤의 생산력 확보를 추진하고 있으며, KCC도 6000억원을 투자해 연간 생산량 6000톤의 공장을 2010년부터 본격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장기적으로 KCC는 생산량을 1만8000톤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여기에 삼성석유화학이 폴리실리콘 연구개발(R&D)를 위한 연구소를 구축하며 사업 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웅진그룹도 이르면 3월께 전체적인 투자 계획과 사업 방향을 발표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폴리실리콘의 국내 생산 및 공급이 확대되면서 태양광산업의 대외 의존도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폴리실리콘 생산국..
2009.01.20 -
태양에너지 - 태양광 염료감응 태양전지 업체 동진쎄미켐
동진쎄미켐은 반도체 및 LCD 전자재료 전문기업이다. 동 회사는 신규사업인 태양전지사업에서 앞선 기술력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회사는 2008년 7월 17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쎌 제조기술] 의 이전계약을 체결하고 기술 내실화에 힘을 얻었다. 내년에는 5MW의 태양전지 모듈 시험양산체제를 구축하고 이듬해는 25MW의 추가 양산체제를 갖춰 2011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현재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조기 사업화를 위해 건자재일체형 태양광발전(BIPV), 모바일 충전지, 차동차 전문업체 등 전방업체들과 제휴를 추진하고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광흠수물질인 염료가 착색된 투명유리가 빛에너지를 저기에너지로 바꾸는 첨단기술이 핵심이다. (주) 동진쎄미켐이 이전받은 기술은 나노..
2008.11.04 -
태양광발전 핵심요소기술 수준
태양광발전 핵심요소기술 수준 핵심기술 국외 현황 국내 개발 현황 기판 실리콘 기판 생산 기술 선진국 수준 기판 두께 제어기술 220±20μm 소수의 기업체에서 소규모 생산라인을 갖춤 태양전지 (Cell)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단결정 다결정 양산용 단결정 태양전지 변환효율 > 16% ― 최고 변환효율 24.7% (실험실 수준) 양산용 다결정 태양전지 변환효율 15% ― 최고 변환효율 20.2% (실험실 수준) 단결정 태양전지 및 다결정태양전지 양산화 기술개발 (2004.12) ― 변환효율 약 15~16% 박막형 실리콘 태양전지 비정질 프로터결정 마이크로결정 비정질 실리콘/비정질 실리콘 게르마늄 이중접합 태양전지 모듈 및 비정질 실리콘/비정질 실리콘 게르마늄/비정질 실리콘 게르마늄 삼중접합 태양전지 모듈 ..
2008.11.04 -
태양광발전 물위에 띄워 운영예정
발전단가가 비교적 높은 태양광발전의 단가 인하효과를 가져올 방법이 연구되고 있고 또한 사업계획 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태양광발전은 고비용 저효율이지만 향후 가장 발전성 있는 신재생에너지중 하나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이런 발전을 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대규모 토지의 확보가 절실한데 이러한 토지는 농업 또는 임업 그 밖의 다른 1.2차 산업의 이용도를 낯추에 되어 경작지의 부족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 할 수 있으며 토지확보를 위한 발전업체의 비용부담도 생각해 봐야 되는 문제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다나 강 등에 태양광발전판을 띄워서 발전하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고 또한 향후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기로 확정한 것 같습니다. 관련 업체들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건물외..
2008.11.04 -
풍력발전 사업추진계획
No 사업명 주관기관 위탁기관 사업기간 비고 (수행책임자) (참여업체) 1 3.0MW이상급 Off- Shore용 서울대학교 ‘04.9~’06.2 완료 대형풍력발전기 개념 및 기본 설계 (이수갑) 2 10kW급 소형풍력발전기 표준형 (주)준마엔지니어링 군산대학교 ‘04.9~’06.12 완료 상용 시스템 개발 (김상진) 3 풍력발전단지건설을 위한 지침서 및 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 대안센터 ‘04.12~’06.12 완료 지역 수용성 제고방안 연구 (김은일) 4 1.5MW급 풍력 발전 (유)한진산업 제주대 ‘05.12~06.10 완료 시스템 실증연구 (강서희) 5 750kW급 Gearless형 국산화 유니슨(주) 포항공대, ‘06.12~’07.01 완료 풍력발전시스템 실증연구 (류지윤) 강원대 6 (강원도) 도..
2008.11.04 -
태양광발전소 준공 - 동원솔라파크
동원솔라파크 태양광발전소 준공
2008.09.23 -
신재생에너지- 태양광-신재생에너지발전차액제도
수익성과 공공성 모두를 충족시킬 친환경산업 투자에 금융권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산업은행은 1조원 규모의 사회책임펀드를 조성해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업 등 환경친화기업에 대해 우대금리 자금 지원 계획을 발표했고, SC제일은행은 프로젝트 파이낸싱 방식으로 전라남도 신안에 건설되는 세계 최대의 태양광발전소 건설사업에 참여를 결정했다. 국민은행은 산업자원부와 함께 3,300억원 규모의 신·재생 에너지 사모펀드를 설립했으며, 주로 태양광발전소 건설 및 태양광발전 설비 사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산업은행(총재 김창록)은 최근 '태양광발전 산업의 동향 및 금융기관 진출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태양광발전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경제성이 부족해 시장형성이 지체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세계 각국은 정부..
2008.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