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발전 핵심요소기술 수준

2008. 11. 4. 18:58신재생에너지

태양광발전 핵심요소기술 수준
핵심기술 국외 현황 국내 개발 현황
기판 실리콘 기판
생산 기술

선진국 수준 기판 두께 제어기술
220±20μm

소수의 기업체에서 소규모 생산라인을 갖춤

태양전지 (Cell)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단결정

다결정

양산용 단결정 태양전지 변환효율 > 16%

― 최고 변환효율 24.7% (실험실 수준)

양산용 다결정 태양전지 변환효율 15%

― 최고 변환효율 20.2% (실험실 수준)

단결정 태양전지 및 다결정태양전지 양산화 기술개발 (2004.12)

― 변환효율 약 15~16%
박막형 실리콘
태양전지

비정질

프로터결정

마이크로결정

비정질 실리콘/비정질 실리콘 게르마늄 이중접합 태양전지 모듈 및 비정질 실리콘/비정질 실리콘 게르마늄/비정질 실리콘 게르마늄 삼중접합 태양전지 모듈 상용화

소면적 태양전지의 경우 11~14%의 초기 효율과 11~12%의 안정화 효율 달성

대학 및 정부 출연연구소 등 연구수행

―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초기 효율 8.0%(안정화 효율 %)인 국내최고 마이크로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개발
― 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마이크로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7.3%의 초기효율달성
― 한국전자부품연구원에서 나노결정 및 마이크로결정 실리콘의 붕소 도핑을 통한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광층으로서의 응용 연구를 수행 중
화합물 태양전지 (CIGS)

'03년 19.2% 최고효율 달성

미국 NREL에서 동시 증착법으로 19.2% 효율 보고, 일본과 유럽의 연구팀들도 18%이상의 효율 달성

대면적 모듈의 경우 일본 Showa Shell에서 900㎠에서 14.3%, 3600㎠에서 13.4%의 최고효율을 달성

대면적 stainless steel, polymer 등과 같은 유연성 기판에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며 양쪽에서 빛을 흡수할 수 있는 bifacial형 태양전지에 대한 연구 활발

국책 연구소나 학교의 실험실에서 소면적으로 개발됨

― CIS로 대표되는 I-III-VI2 화합물 박막태양전지에서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KAIST, 서울대학교의 연구팀과 공동으로 실험실에서 소면적 태양전지에서 효율 17% 달성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03년 무지개 색의 염료를 이용한 염료감응태양전지의 개발에 성공 현재 상용화검토(일본)

염료감응 산화물 전극과 유기 정 공전도체 (OMeTAD)를 이용한 고체형 광전지 개발(스위스)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양산화 계획(미국)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및 대형 어레이 개발(일본)

염료감응 태양전지기반 태양광발전시스템 개발(호주)

국가 출연 연구소에서 주도적인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고 10여개의 대학에서 기초연구를 수행

― 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KRICT (한국화학연구원), KIST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ERI (한국전기연구원) 등에서 연구를 수행. ETRI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관련 세계수준의 기술력 확보
― 2000년 ETRI에서 고효율 염료감응 태양전지 개발성공(에너지변환 효율 9.2% @ 100mW/cm2), 2003년 KIST에서 고분자전해질 염료감응 태양전지개발(4.5% @ 100mW/cm2), KRICT에서 고효율 dot cell을 개발(9% @ 100mW/cm2)
모 듈
(Module)
지상용 모듈

대면적 200W-300급 지상용 모듈 개발

태양전지 모듈용 저철분 강화유리 및 EVA, 백시트, 테듀라 등 구성요소기술 대량 생산기술 확립

50W급, 75W급, 100W급 지상용 모듈 상용화기술 확립

저철분 강화유리, EVA, 테듀라 등 모듈구성요소기술 개발 중

BIPV모듈

건자재 일체형 금속커튼월 모듈 개발

Glass/Glass형 창문 일체형 모듈 개발

반투명 건자재일체형 모듈 개발

BIPV 모듈 구성용소 대량생산기술 확립

건자재 일체형 금속커튼월 모듈 개발 중

Glass/Glass형 창문 일체형 모듈 개발 중

반투명 건자재일체형 모듈 개발 중

BIPV 모듈 구성용소 기술 개발 중

인버터 (PCS) 독립형 인버터

대량 생산체제구축 및 효율 95%수준 달성

IT기술 등을 구사한 무인화 기술개발 완료

자가화를 위한 구성요소기술개발

90년도 초반에 무정전전원장치기술을 이용하여 개발. 지속적인 저가화 기술 개발 필요

93년도에 PCS개발 및 상용화,

― 정격출력용량 : 50kWp이하
― 효 율 : 92%
계통 연계형

고효율 소형 경량화 기술 개발

― 변환효율 95%이상
― 가격 100만원/kW

부가가치 향상기술 개발

유니트 및 스트링기술 개발

계통연계기술 구사 상품화 기술 개발

― 변환효율 90%이상

유니트 및 스트링 기술 개발 중

가격 < 100만원/kW

축전지 태양광발전용

각종 독립형 시스템의 기능 및 운전 패턴을 고려한 축전지 개발

저가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2002년 고밀도 무보수 밀폐형 PV용 연축전지 개발 및 상용화

― 기대수명: 5년
시스템 독립형시스템

다양한 형태의 독립형 시스템 상용화 기술 확립 및 미니 그리드 및 분산전원으로 활용

개발도상국 등 후진국의 지원 및 수출 상품 저가확 기술개발

국산화에 성공하여 전남여천군의 하화도 65kW급을 중심으로 마라도 30kW등을 보급하여 상용화 운전 중

태양광/풍력복합시스템 개발하여 몽고, 베트남 등에 국제협력지원

계통연계형
시스템

빌딩적용 공공건물, 산업용, 주택용 등의 설계시공 및 운영기법 확립

패키징형 시스템 상품화 및 저가화기술 개발 중

중대규모 건축환경 태양광시스템개발(‘01’03)

주택용 3kWp급 상용화기술 확보(2004)

100KWp 건물용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확보

시 공 독립형

저가 설계 및 시공기술 확립

일반 시공기술자 보급기술 교육 실시

시공기술 확보

연계형

패키징기술 개발로 에어콘과 같은 시공기술 확립

시공기술의 일반 가전제품성격의 기술 개발중

설계 및 시공기술 확립

시공비용 고가, 저가화 기술 개발 필요